메뉴 건너뛰기

주일예배 말씀

2017/12/3 성찬과 주시는 은혜

관리자 2017.12.06 17:54 조회 수 : 13

Add movie file / 동영상 추가  

본문말씀: 고린도전서 11:23-29

 

    오늘은 우리 교회가 매월 첫 주일에 갖는 성찬예식에 대해서 말씀을 나누고자 합니다. 성찬예식은 언제 부터 시작되었을까요? 또 성찬예식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질문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성찬에 대해서 말씀을 나눌 때 성도님들의 신앙생활에 큰 도전이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성찬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허물을 담당하시고 십자가에 달려 죽으심으로 우리가 죄 가운데서 구원받게 된 것을 기념하는 성례식입니다. 예수님이 제정하셨고, 성찬을 뗄 것을 명령하셨고, 이 예식을 통해 주님을 기념하라 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떼어 주신 떡을 제자들도 각각 떼어 나누었는데, 이때 성찬은 주님의 살과 피를 기념하므로 주님과 영적인 교제를 가짐과 동시에 성도간의 영적 교제를 갖는 것을 상징합니다. 성찬의 떡은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합니다. 포도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을 상징합니다. 이처럼 주님의 몸과 보혈을 상징하는 떡을 떼고 잔을 받음으로 주님이 우리를 위해 몸을 찢으시고 보혈을 흘리신 것을 기억하고, 그 은혜가운데 살 것을 바라십니다. 따라서 속된 식탁처럼 생각하고 합당치 않게 먹고 마시면 주님의 몸을 범하는 죄를 짓는 것이라 했습니다. 그러므로 이 예식에 참예할 때에는 자기를 살피고 죄를 자복하고 회개한 연후에 참여해야 합니다. 초대교회안에서는 성찬과 더불어 애찬도 있었는데, 매 주일 예배때마다 성도들이 집에서 음식을 한가지씩 준비하여 가지고 와서 성도간에 서로 나누며 사랑의 교제를 갖는 것을 말씀합니다. 이 시간에 본문의 말씀을 근거로 해서 성찬식과 이 성례식이 우리에게 가져다 주는 은혜가 무엇인지 상고하도록 하겠습니다.

 

1. 성찬은 예수님의 마지막 유월절 식사였습니다.
    마태복음 26장과 27장은 예수님께서 고난받으시는 고난사의 기록입니다. 그중 마태복음 26장 26절 이하의 말씀과 본문은 예수님께서 죽음을 앞두고 사랑하는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 식사를 나누는 최후의 만찬에 관한 말씀입니다. 만찬이라고 하니까 음식이 푸짐하게 차려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제자들과의 마지막 식사자리에 어떤 음식들이 준비됐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또 그것이 관심사가 될 수도 없습니다. 그 자리가 제자들과 나누는 마지막 식사 자리였다는 것, 또한 그 마지막 식사 자리에서 나누었던 떡과 포도주가 상징하는 그 의미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것인지가 중요한 겁니다.

 

    이 최후의 만찬은 오늘날 교회의 최대의 성례인 성만찬의 기원이 됩니다. 본문 24절과 25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떡을 떼시고 잔을 가지고 축사하신 후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습니다. 예수님이 명하신 이 명령의 말씀이 성만찬의 시작입니다. 그리고 이 성만찬이 기독교 신앙에서 중요한 이유는 유월절에 죽임을 당했던 어린양의 상징적 의미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으심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들의 죄를 담당하시기 위해서 십자가에서 살이 찢기시고 피흘려 죽으심이 성만찬이 이야기 하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대속의 유월절 어린양이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신 속죄제물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이 만찬은 예수님에게 뿐만 아니라 제자들에게도 마지막 유월절 만찬이 되야만 합니다.

 

2. 주님은 먼저 떡을 떼어 주심으로 자신의 고난을 보이셨습니다.
    마태복음 26장 26절 이하의 말씀을 보면 "떡을...떼어...주시며...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두 가지의 의미로 받아 들여야 합니다. 1) 생명의 유지입니다. 육의 사람은 육의 양식을 먹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영양소가 골고루 갖춰진 음식을 잘 섭취해야 건강을 유지해 나갈 수 있습니다. 같은 이치로 영의 사람은 영의 양식을 먹어야 영적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겁니다. 예수님은 하늘로서 내려온 생명의 떡이라고 했습니다. 또한 우리 속에서 영원히 솟아나는 생수라고 하셨습니다. 요한복음 6장 35절 말씀에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영의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생명의 떡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 심령 가운데 모시고 살아야 합니다. 요한복음 1장 12절의 말씀을 보면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선포하고 있습니다.

 

    2) 활동성입니다. 육의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것은 육신의 양식을 섭취하여 얻는 힘 때문입니다. 아무리 힘이 센 천하장사라 해도 몇날 몇일을 먹지 않고 버틴다면 힘을 쓸 수 없을 겁니다. 우리 성도님들 금식 기도 해 보셨을 겁니다. 금식 기도를 하면서 음식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달았을 겁니다. 육신이 활동을 하려면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육신에 영양분을 골고루 보내줘야 합니다. 그래야 건강도 챙길 수 있고, 힘도 쓸 수 있는 겁니다. 그러나 영의 사람에게 공급되는 힘의 원동력은 세상 물질이나 음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곧 영의 양식이요, 또한 하나님의 말씀은 곧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래서 요한복음 1장 1절 이하의 말씀을 보면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이 곧 하나님이시라"고 했습니다. 영의 양식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 심령 가운데 모시고 살아가게 될 때에 거기에 깊은 은혜가 있고, 축복이 있습니다. 성찬예식을 통해 먹고 마시는 떡과 잔이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3. 주님은 잔을 주심으로 십자가 죽음을 보이셨습니다.
    마태복음 26장 28절의 말씀에 보면 포도주를 들고 축사하신 주님께서는 이것은 곧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고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피는 죄사함을 얻게 하는 피입니다. 히브리서 9장 22절의 말씀을 보면 "피흘림이 없이는 죄사함이 없다"고 했습니다. 구약의 제사 제도는 이런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래서 구약의 제사법을 보면 사람들이 죄를 범하게 되면 죄 지은 사람의 형편을 따라, 또 죄의 경중에 따라, 죄 용서함을 받는 의식으로 송아지나 양이나 염소나 비둘기등을 잡아 번제로 드림으로 죄사함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구약시대의 제사제도 자체가 사람의 죄악을 완전히 속죄할 능력은 없습니다. 그래서 사람이 죄를 지을 때마다 희생제물을 잡아 단에 불사르는 속죄의 화제가 반복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구약시대의 이와 같은 피의 제사는 오실 메시야의 속죄를 예표합니다. 히브리서에서는 속죄양 되시는 예수께서 속죄의 피를 흘려 단번에 죽으심으로 이를 바라보고 믿는 자들에게 속죄함의 은혜를 주셨다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이 죄사함의 떡과 잔을 먹고 마시지 않고는 속죄의 은총을 얻을 수 없습니다. 성도들은 성찬예식에 참여할 때마다 이 은혜를 기억하고 사모해야 합니다. 구속의 은총을 기억하는 예식이 성찬예식입니다. 감사함으로 감격하는 마음으로 참여하는 성도 되십시다.

위로